목록전체 글 (83)
minzzl

안녕하세요, 앞으로 혼잡제어 알고리즘과 관련하여 포스팅을 해볼 예정입니다. * 아래에 작성해 가는 글들은 오리뎅이님의 블로그와 아래의 글들을 보고, 제 머리 속에 새기기 위해 써내려가는 글임을 미리 밝힙니다... https://meetup.nhncloud.com/posts/53 https://brainbackdoor.tistory.com/111 https://www.inven.co.kr/webzine/news/?news=165870 혼잡제어는 TCP를 배울 때, TCP는 신뢰할 수 있는 프로토콜로 흐름제어, 오류제어, 혼잡제어 기능을 수행한다고 하며 들어보셨을겁니다. 흐름제어와 헷갈린다면 여기 클릭 https://minzzl.tistory.com/53 이미 Flow Control에 대해서는 위의 링크를 ..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는 OSI 7 layer 중 4 계층에 속하는 중요 프로토콜로 네트워크 망에 연결된 컴퓨터의 프로그램 간의 데이터를 순서대로, 에러없이 교환할 수 있게 해줍니다. 그렇다면 TCP는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결 지향 프로토콜 신뢰할 수 있는 프로토콜 TCP는 연결 지향형 프로토콜로, 물리적으로 전용 회선이 연결되어 있는 것처럼 가상의 연결통로를 설정하여 통신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이 때 가상의 연결 통로를 가상 회선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논리적인 연결통로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음으로서 데이터의 전송 순서를 보장합니다.(순서 제어) 이 때 가상 회선을 통해, 데이터를 임의의 크기로 나누어 연속해서 데이터..
안녕하세요 ~! 논문 관련 실험에서 tc 가 사용이 되는데요 ... 관련들이 뭔가 제 마음에 들지 않아서 .. 이렇게 작성을 해보려고 합니다. TC 명령어 TC는 Traffic Control의 약자로,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제어하는 도구입니다. 사실 평소에는 크게 사용할 일이 없지만.. 저와 같은 네트워크 상황을 시물레이션 해볼 필요가 있는 사람에게는 너무나도 유용한 도구입니다. 즉 이를 이용하면 UDP 또는 TCP 응용 프로그램의 패킷 지연 및 손실을 시뮬레이션하거나 특정 서비스의 대역폭 사용을 제한하여 인터넷 연결(DSL, 케이블, T1 등)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습니다. Network Delay 추가 첫 번째 예는 인터페이스에 일정한 지연을 추가하는 방법입니다. tc qdisc add dev eth0 ..

안녕하세요.. 프로젝트 진행 중에 황당하게 피그마에서 오류가 나서 .. 이렇게 글로 정리해봅니다.. 피그마가 업데이트 되고나서 발생하는 오류인듯합니다. 너의 크롬에 WebGL이 현재 지원되지 않아서 파일을 열수 없다고 하는데요.. 그리고 친절하게 article을 읽어보라고 합니다 .. 근데 왠걸 ㅋㅋ 저기 article에서는 chrome://flags/ 에 들어가서 WebGL 관련 flag를 다 키면 제대로 작동될거라고 하지만. 저는 여전히 똑같은 오류가 나왔습니다 ^^ 해결방법은 간단했습니다. setting에 들어가서 hardware라고 검색한 후에 Use hardware acceleration when available 을 켜주시고, relaunch 해주시면 정상 작동됩니다 ~!

최근 그리디 알고리즘을 보고 있습니다 .. 아마 다른 분들께는 기본 중에 기본일텐데 .. 저한테는 아직 많이 낯선것 같습니다 ... 그래도 홧팅 ~! 문제 풀이 처음에 해당 문제를 접근한 방법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1. 입력 받은 수를 리스트로 저장하여 각 자리수를 분리한다. 2. 각 배열의 인덱스를 int 형으로 변경한다. 3. 그 배열안의 수들을, 순열을 사용하여 순서가 있게 조합한다. 4. 조합한 것들 중 30의 배수가 되는 가장 큰 숫자를 출력한다 코드로 나타내면 .. import sys, os, io, atexit from itertools import permutations input = lambda: sys.stdin.readline().rstrip('\r\n') stdout = io.Byt..

개요 경북대학교 국제교류처에서 진행했던 2022 하반기 대학원생 글로벌 챌린저 프로그램에 선발되어 탐방을 마치고 왔습니다. 비행기표 및 여행에 필요한 여비를 지원해주는 너무나도 좋은 프로그램이었기에 준비 과정과, 선발 이후 보고 느꼈던 것들을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지원 동기 해당 프로그램을 지원하게끔 만든 것은 단순히 "여행 여비를 지원해주는 프로그램"이라는 흥미로움이었습니다. 잠깐이지만 공짜로 더 넓은 세상에서 내가 원하는 일정대로 공부하게 해준다니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했습니다. 글로벌 챌린저 프로그램은 지원자가 탐방에 있어서의 A-Z를 모두 제출하여 검토를 받고, 서류 통과 후 면접을 통해 선발이 됩니다. 탐방 기간이 12월 ~ 1월 에 진행이 되어야했는데, 탐방국가를 결정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