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nzzl
정렬 / 선택 정렬 / 가장 작은 것을 선택해서 제일 앞으로 보내는 알고리즘 본문
이 글에서는 정렬 알고리즘 중 가장 직관적인 선택 정렬(Selection Sort)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선택 정렬(Selection Sort)
대상 범위에서 최솟값을 찾아 그 값과 범위의 맨 앞에 있는 값을 서로 바꾸는 과정을 반복하는 정렬 기법.
(해당 과정이 한 번 끝날 때마다 범위 안의 맨 앞에 있는 값은 정렬이 끝났으므로 정렬 대상 범위에서 제외합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아래의 예시를 통해 설명해보겠습니다.
이 때 굵게 표시 된 부분은 이미 정렬이 끝난 것을 의미합니다.
1 10 5 8 7 6 4 3 2 9
1 10 5 8 7 6 4 3 2 9
1 2 5 8 7 6 4 3 10 9
1 2 3 8 7 6 4 5 10 9
1 2 3 4 7 6 8 5 10 9
1 2 3 4 5 6 8 7 10 9
1 2 3 4 5 6 8 7 10 9
1 2 3 4 5 6 7 8 10 9
1 2 3 4 5 6 7 8 9 10
1 2 3 4 5 6 7 8 9 10
1 2 3 4 5 6 7 8 9 10
시간 복잡도
데이터의 개수가 n개라고 했을 때,
- 첫 번째 회전에서의 비교횟수 : 1 ~ (n-1) => n-1
- 두 번째 회전에서의 비교횟수 : 2 ~ (n-1) => n-2
- ...
- (n-1) + (n-2) + .... + 2 + 1 => n(n-1)/2
비교하는 것이 상수 시간에 이루어진다는 가정 아래, n개의 주어진 배열을 정렬하는데 O(n^2) 만큼의 시간이 걸린다. 최선, 평균, 최악의 경우 시간복잡도는 O(n^2) 으로 동일하다.
공간 복잡도
주어진 배열 안에서 교환(swap)을 통해, 정렬이 수행되므로 O(n) 이다
특징
장점
- 알고리즘이 단순하다.
- 정렬하고자 하는 배열 안에서 교환하는 방식이므로, 다른 메모리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 제자리 정렬(in-place sorting)
- 정렬을 위한 비교 횟수는 많지만, Bubble Sort에 비해 실제로 교환하는 횟수는 적기 때문에 많은 교환이 일어나야 하는 자료상태에서 비교적 효율적이다.
단점
- 평균과 최악의 시간복잡도가 O(n^2)으로 비효율적이다.
- 불안정 정렬(Unstable Sort) 이다.
* 안정 정렬
- 안정 정렬이란 정렬 전 동일한 키 값의 요소 순서가 정렬 후 유지가 되는 정렬 알고리즘
ex)
[3, 2, 1, 5, 7, 5] 라는 배열을 오름차순 정렬할 때,
[1, 2, 3, 5, 5, 7]이 된다면 안정 정렬
[1, 2, 3, 5, 5, 7]이 될 수 있다면 불안정 정렬
아래의 글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https://coding-factory.tistory.com/615
[Algorithm] 각 정렬의 특징 및 장단점 & 시간복잡도
정렬 별 특징 선택정렬 (Selection Sort) 선택정렬은 앞에서부터 차례대로 정렬하는 방법입니다. 먼저 주어진 리스트 중에 최소값을 찾고 그 값을 맨 앞에 위치한 값과 교체하는 방식으로 진행하
coding-factory.tistory.com
[알고리즘] 안정 정렬 (Stable Sort)
버블정렬, 삽입정렬, 퀵정렬, 선택정렬 등 정렬 알고리즘은 정렬의 안정성에 따라서 안정 정렬과 불안정 정렬로 나뉜다. 그 중 안정 정렬을 먼저 정리하려고 한다. 안정 정렬 안정 정렬이란 정렬
riverblue.tistory.com
https://gyoogle.dev/blog/algorithm/Selection%20Sort.html
선택 정렬(Selection Sort) | 👨🏻💻 Tech Interview
선택 정렬(Selection Sort) Goal Selection Sort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Selection Sort 과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Selection Sort을 구현할 수 있다. Selection Sort의 시간복잡도와 공간복잡도를 계산할 수 있다. Ab
gyoogle.dev
'Algorithm > 기타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꿀팁 / Python 빠른 입출력 (0) | 2022.12.02 |
---|---|
꿀팁 / sys.stdin.readline() / 시간 초과를 대비하는 빠른 입력받기 (0) | 2022.12.01 |
정렬 / 버블 정렬 / 옆에 있는 값과 비교하여 더 작은 값을 반복적으로 앞으로 보내는 정렬 (1) | 2022.10.05 |
Python / input() / input () - 사용자가 입력한 값을 문자열로 취급하여 저장하는 함수 (3) | 2022.09.27 |